전체 글 16

Product Management Research #11 (User Story / Agile)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불편한 점을 한 두 가지씩 느끼곤 한다. 나는 옷박스를 볼 때마다 매 번 불편함을 느꼈는데, 인원에 비해 좁은 집에서 살고 있다면 이런 옷 박스를 본 적 있을 것이다. 나 홀로 서울살이를 10년 넘게 하면서 커다란 집이라고는 현장일 다니며 4명에서 살았던 30평짜리 아파트가 다였고, 조그만 집에서 어떻게든 정리를 하려면 정리 박스가 필수였다. 우체국 박스, 바나나 박스 등 별의별 아이템을 다 써봤지만 다이소에서 사면 무려 3,000 원에도 구매할 수 있는 가성비 끝판왕인 이 녀석을 따라오진 못했다. 하지만 이 녀석도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했는데 바로 옷을 하나라도 꺼내고나면 정리했던 옷이 와르르 무너지며 엉망진창이 된다는것이었다. 결국 다시 정리를 하지 않으면 다음번에 원하는 옷을 찾기..

Code States 2023.05.31

Product Management Research #10 (서비스 확장 / API)

이전 글에서 Naver Webtoon의 데이터를 직접 긁어와 보았다. 단순히 자료를 모으는 것뿐만 아니라 이런 데이터를 분석하여 앱푸시 서비스에 어떤 장르를 넣을 건지 결정할 수 있다고 했다. 여러 가지 테스트들을 통해 제품이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했다면 서비스의 확장을 시도할 시기가 다가올 것이다. 본격적인 서비스 확장을 얘기하기 전에 잠깐 카카오의 행보를 살펴보자 카카오톡으로 시작한 카카오는 단순한 톡 메신저로만 살아남은 게 아니다. 2010년 카카오톡 출시 이후 2011년까지 210억 원의 누적적자를 보고 있었는데, 2012년 7월 '카카오 게임하기'라는 소셜네트워킹과 게임의 결합 서비스로 애니팡 등 몇몇 업체와 계약하여 90억의 영업이익을 달성하게 된다. 이후 텐센트, 위메이드 등의 투자를 받으며..

Code States 2023.05.22

Product Management Research #9 (Python - Crawling / HTML)

데이터 수집에 관해 얘기를 하며 크롤링이라는 얘기를 잠깐 언급했었다. 법적인 문제야 둘째 치고라도... 기업 내부의 데이터를 직접 볼 수 없는 사람이라면 외부에서 그 정보를 수집해야만 하는데, 코딩의 코자도 모르는 사람이라도 Python과 Html을 조금만 찾아보면 간단한 데이터는 긁어올 수 있다. 웹툰 시장에서 인기 있는 작품을 보기 위해 Naver Webtoon에 나와있는 정보를 긁어와 보도록 하자. 실행하기에 앞서 준비물이 몇 가지 있는데, 자료를 긁어와서 나눠줄 Python과 Beautifulsoup이라는 라이브러리, 그리고 Selenium이라는 패키지를 설치해야 한다. 사용하는 웹 버전에 맞는 Webdriver도 필수다. (파이썬, 라이브러리 등은 잘 모르면 일단 넘어가자) (그리고 구글 검색은..

Code States 2023.05.18

Product Management Research #8 (Webtoon - 데이터수집과 분석 / 시각화)

우리는 의사결정을 할 때 여러 가지 방법들을 사용한다. 주말 저녁, 연인과 데이트 코스를 정할 때는 레스토랑을 알아보며 블로그 후기 등을 찾을 것이고 친구들과 술자리가 예정되어 있다면 단체챗에서 회의를 통해 메뉴를 정하고 가게까지 서로의 거리가 비슷한 지역을 고를 수도 있다. 의사결정에 알게 모르게 여러 가지 데이터가 참고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기업에서는 사업성의 판단이나 투자, 나아갈 방향 등 데이터를 훨씬 중요하게 여기며 자신의 데이터를 긁어가는(크롤링 등) 행위로 법적 분쟁까지 일어나고 있다. 이렇듯 데이터가 중요하다고 하는데 모든 것을 엔지니어에게 맡길 수는 없는 노릇이니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럼 대체 데이터는 뭘까? Wikipedia에 따르면 아래와 같다. In t..

Code States 2023.05.14

Product Management Research #7 (Lean Startup / Manta - Funnel, AARRR 분석)

Lean Startup이라는 얘기를 들어본 적 있는가? 중소규모의 기업에 일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그런 단어다. Lean이라는 단어는 작은 규모의 기업들에서 언제든 갖다붙일 수 있는 마법의 단어처럼 사용하곤 한다. 도대체 린스타트업이 뭘까?? 린 생산방식은 1900년대 초부터 Henry Ford가 사용했던 흐름 원칙을 도요타의 Tailchi Ohno가 만들어낸 것이다. 린 생산방식에서는 최종 고객을 위한 가치 창출 이외에 목표를 위한 자원 지출을 낭비로 보고 이런 낭비를 제거하는 게 최우선 과제이며, 고객의 욕구를 이해하기 위해 공급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다. 이 린 생산방식을 제품의 개발에 적용한 것이 바로 에릭 리스의 린 스타트업 이론이다. 아이디어를 빠르게, 최소한의 기능으로 ..

Code States 2023.05.03

Product Management Research #6 (Manta - Storyboard)

이전 글에서 Manta의 BMC를 그려보았다. 그 외에 나온 여러 가지 MVP, KPI, OKR 아이디어를 통해 이번에는 실제 PM이 실무에서 사용하는 Story Board 작성해보자. Storyboard는 콘티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영화나 TV 광고, 애니메이션 등 영상물을 제작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다. 실제로 기획에서 Storyboard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착각하지 말자. 아이디어와 컨셉들을 아이디어 스케치와 메모 등을 통해 서비스나 제품에 대한 기획을 세우고, 전체적인 시나리오를 작성한 뒤 마지막으로 아이디어, 컨셉들을 발전시켜 세부묘사를 한 것이 바로 Storyboard다. 첫 기획의 방향이 명확하지 않거나, 잘 못 된 경우 아무리 Storyboard를 열심히 만들어봤자 아무 소용이 없..

Code States 2023.04.27

Product Manager로서 실패 사례를 분석해보자 (Twitch TV - Streamer failure case analysis)

오늘은 조금 가벼운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2020년 회사를 다니고 있던 나는 집에서 쉴 때 Twitch TV라는 앱을 즐겨봤다. 누워서 방송을 보던 나는 문득 나도 방송이라는 것을 할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밴드를 하고 있어서 마이크도 있었으며, 영상은 묵혀두었던 오래된 아이폰으로 찍으면 되었다. 어떤 컨텐츠를 할지는 딱히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저 게임을 좋아했으며 평소에 WOW라는 Blizzard 사의 RPG 게임을 꾸준하게 했으니, 인터넷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찾아서 설치하고 2020년 9월 첫 송출을 시작하게 된다. 유명한 사람들의 방송은 500명, 1000명도 넘었지만 내가 하는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 수는 생각보다 쉽게 늘지 않았다. 지인들 중에 궁금해서 들리는 1~2명과 가끔 지나..

Product Manager 2023.04.23

Product Management Research #5 (Youtube - BMC)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게 뭘까? 자동차? 컴퓨터? 개인적으로는 스마트 폰이라고 생각한다. 2010년 IPhone 4의 발매와 더불어 KakaoTalk이라는 서비스가 런칭을 했고, 한국에서 통신사업을 하던 기업들은 문자와 음성통화를 대신할 새로운 서비스에 대항하여 mVolP를 사용하면 IP를 차단하겠다는 강수를 뒀다. (제 밥그릇 지키기는 잘한다고 칭찬해야할까..) 하지만 10여 년이 지난 후 우리는 여전히 스마트 폰을 사용하고 있고, 대부분 문자가 아닌 메신저 앱을 사용하고 있다. 세상은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달라져버렸다. 본격적인 디지털 시대가 열렸고, 사람들은 미디어 컨텐츠에 열광하기 시작했다. 초창기 SNS들을 시작으로 웹툰, 드라마 등 수많은 것들이 스마트폰 세상으로 들어오..

Code States 2023.04.19

Product Management에 4MAT을 적용시켜보자

며칠 전 유튜브를 보고 있는데 세바시에 대한 얘기가 나왔다.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이라고 해서 세바시라고 부르는 15분짜리 강연인데 (별다줄. 약간 욕처럼 들리기도 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나와서 이런저런 얘기를 한다. PM교육을 들으면서 참고자료로 IKEA와 4MAT에 대한 세바시 강연이 첨부되어 있었는데, 인상 깊었던 부분이 있어 공유하고자 한다. (출처 : https://4mat4learning.com.au/what-is-4mat/) (https://www.youtube.com/watch?v=H1NW2433oQQ&t=353s) 4MAT은 인간이 어떻게 학습하는가에 대한 버니스 맥카시(Bernice McCarthy)라는 교육학자가 연구하고 있는, 사람이 무언가를 인지할 때의 방식과 인지된 내용을 ..

Product Manager 2023.04.19

Product Management Research #4 (Manta - BMC/Business Model Canvas)

지난 시간에 Design Thinking을 통한 아이디어 검증과 프로토타입 제작 및 테스트를 해보았다. 한 아이디어를 검증하는 데는 매우 오랜 시간이 들어가는데 기업은 결국 돈을 벌어야만하기에 제작된 상품의 수익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번에는 가장 중요한 제품의 Business Model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가장 유명한 관리도구 중 하나는 Business Model Canvas라는 알렉산더 오스터왈더(Alexander Osterwalder)가 창시한 것이다. BMC의 왼쪽은 기업 내부에서 일어나는 부분들이고 오른쪽은 소비자와 관련 있는 부분이라고 보면 된다. 그중 가장 중요한 핵심은 정 가운데에 위치한 Value Propositions를 통해 양 쪽의 가치가 교환된다는 것이다. 지난 글을 통..

Code States 2023.04.17